top of page

융복합센터 MOOC 강좌: 중국사상사-2

안녕하십니까! 국제융복합협회 융복합 MOOC센터에 방문해 주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국제융복합협회 융복합 MOOC센터는 홍익인간의 정신을 현대에 되살려 인간의 문제 해결과 복지증진에 이바지 할수 있도록  관련유관 강의를 누구나 학습할수 있도록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중국사상사-2

 

중국사상사 [2]

 

 

-유교사상(송대 성리학 ~ 청대 고증학)

-중국유교사상의 특징

 

 

3. 송대 신유학(新儒學) : 성리학(性理學)

 

[1] 송대 유학의 발전 배경

 

①당송 시대를 거치면서 왕실과 지식인들의 불교와 도교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는 반면 유교는 경서의 주석에 머무른 훈고학 수준에 머묾

②불교와 도교의 교리적 발전에 비해 유교가 이론적 체계가 부족한 점에 대해 유교자들의 반성과 새로운 연구가 시작

③유교자들이 불교와 도교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선진유학을 재해석하여 이론적으로 체계화(정통 유교가 성리학으로 발전)

 

[2] 성리학(형이상학적 유교)의 성립

 

*주돈이(周敦頤, 1017~73) : 송나라 유교의 형이상학적 사유를 시작한 인물로서 태극도설(太極圖說)과 통서(通書) 등의 저서기 있으며 그의 사상은 제자들인 정호(程顥)와 정이(程頤) 형제를 거쳐 주희에게서 집대성되어 송대의 성리학으로 탄생

 

[3] 주자(朱子)의 성리학(性理學)

 

1) 주자(朱子, 1130~1200)

①본명은 주희(朱熹)로 남송시대 활동, 유교를 형이상학적 이론으로 체계화하고 성리학으로 집대성함

②주자의 성리학은 20세기 초까지 동아시아를 지배하는 주된 사상

③성리학 이전의 유교는 도덕론이었음 →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의 함양을 통한 도덕적 인간을 지향

 

2) 기본 개념 : 성즉리(성리학)

 

①성즉리(性卽理) : ‘만물의 본성이 곧 하늘의 이치’라는 이론

-인간을 비롯하여 우주 만물의 본성에는 하늘이 부여한 이치가 들어있음(성리학 확립 : 맹자 성선설에서 비롯)

②모든 이치를 만들어 내는 근본이치를 천리(天理)라고 하며, 천리(天理)에서 만물이 나옴

③따라서 만물에는 하늘이 부여한 이치가 있고, 만물은 하늘이 부여한 이치가 들어있는 본성을 따라야 함

 

3) 이기론(理氣論) : 우주 만물의 구조를 이(理)와 기(氣)로 설명하려는 이론(본체론, 本體論)

 

①이(理) : 만물을 낳는 근본원리(하늘의 이치)로서 우주를 이루고 만물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절대적인 법칙 내지 원리를 말함(플라톤의 이데아[Idea]와 유사한 개념, 보편실재론)

②기(氣) : 만물을 생성하는 재료(만물을 이루는 기본요소)로서 천변만화(千變萬化)하는 운동 작용을 통해 세상만사(世上萬事)를 만들어내는 에너지, 곧 만물을 존재하고 유지케 하는 기운(氣運)을 말함

*인간을 비롯해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의 생명은 기의 움직임으로 생성되며, 비록 가시적으로 눈에 보이는 사물은 아니지만 물질적인 속성을 가지며 만물을 이루는 물리적, 질료적 기반이 됨

 

③이기의 관계

⒜이(理)는 절대적으로 순수하지만 기(氣)는 선악이 혼재적(混在的)으로 공존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 : 사물이 이와 기의 결합이므로 이와 기는 서로 떨어질 수 없음

⒞이기불상잡(理氣不相雜) : 이와 기는 역할이 다르므로 서로 섞일 수 없음

⒟모든 사물은 천리(天理)로부터 부여받은 이(理)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理)의 측면에선 보면 모두 똑같다고 할 수 있음

⒠but, 만물이 서로 다른 건 기(氣)의 맑고 흐름과 치우침의 차이 때문

 

④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

⒜이기이원론 : 이(理)와 기(氣)가 서로 다름(인식에서 뿐 아니라 존재적으로도 서로 구별됨) → 주자학(朱子學)

-사단(四端)은 본성에서 나오고 칠정(七情)은 기질에서 만들어지므로 서로 다름

⒝이기일원론 : 이와 기는 하나의 근원에서 나와서 존재적으로 구별할 수 없는 실체를 이룸 → 양명학(陽明學)

-사단과 칠정은 인식적으로는 구분할 수 있지만 존재적으로는 하나의 실체로서 분리할 수 없음(아리스토텔레스의 일원론과 유사, 유명론)

 

4) 심성론(心性論) : 이기론(理氣論)을 바탕으로 인간의 내면적 구조와 본질을 규명하려는 이론

 

①심통성정(心統性情) : 심(心)은 성(性)과 정(情)을 통괄(統括)함, 곧 마음은 하늘이 준 본성과 기질에 의한 감정을 조절할 수 있음

 

②성(性)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본성으로 하늘의 이치를 담고 있음

⒜본연지성(本然之性) : 기질의 영향을 받기 전의 순선무악(純善無惡)한 것

⒝기질지성(氣質之性) : 기질의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것(본연지성이 육체와 결합하여 나타나는 것)

⒞모든 사람은 본연지성은 동일하나, 기질이 달라 기질지성도 달라짐

 

③정(情)은 성(性)이 외부 사물에 감응하여 나타난 감정 : 사단(四端)과 칠정(七情)

⒜사단(四端) : 인의예지(仁義禮智)의 4가지 본성(本性)에서 우러나온 4가지 마음(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 기질지성이 되기 이전의 본연지성에서 나온 순선(純善)한 마음

⒝칠정(七情) : 인간이 외부의 사물에 접하여 나타나는 7가지 마음(喜怒哀樂愛惡欲 - 기쁨, 노여움, 슬픔, 두려움, 사랑, 미움, 욕심) → 본연지성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육체와 환경의 영향을 받은 기질지성에서 나오는 마음을 가리킴

 

5) 성리학의 인간관

 

①인간의 고결성 : 인간은 하늘(天)의 기품과 땅(地)의 형상을 가장 완벽하게 부여받은 중간적 존재자이며 만물의 영장(靈長)

②인간은 완전성(성)과 불완전성(정)의 결합된 존재

 

*인간 = 성(性) : 순선무악(純善無惡) + 정(情) : 가선가악(可善可惡)

 

6) 거경궁리(居敬窮理)론 : 도덕을 실천하는 방법 → 인격적으로 완성된 사람인 군자(君子)와 성인(聖人)이 되는 방법(마음의 경건성을 수양하고 사물의 이치를 밝혀내는 방법)

 

①거경(居敬) : 거경은 우러르고 받드는 마음으로 삼가고 조심하는 태도로서 이리저리 옮기지 아니하고 한 가지에 몰두하여 심신이 긴장되고 순수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덕성(德性)을 함양(내적 수양법)

②궁리(窮理) : 궁리는 널리 사물의 이치를 마음속으로 이리저리 따져 깊이 연구하여 정확한 지식을 얻는 일(외적 수양법)

 

7) 성리학의 수양론(修養論)

 

①순선무악(純善無惡)한 본연지성(本然之性)이 드러나려면 본연지성이 기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수양(修養)이 절대적으로 필요

②격물치지(格物致知) : 사물의 이치를 깊이 연구하여 인간 자신을 포함한 세계의 참모습을 알아야 함

③선지후행(先知後行) : 먼저 도덕상의 사리(事理)를 완전히 알아야만 비로소 이를 완전히 실행할 수 있음

*사리(事理) : 사물의 이치(理致)와 도리(道理)

④존양성찰(存養省察) : 양심을 보존하고 마음을 살펴서 나쁜 마음을 물리침 → 선한 본성을 보전하고 함양하여 잘못된 길로 빠지지 않게 경계

⑤존천리거인욕(存天理去人欲) : 인간은 천리를 보존하고 이기적 욕망을 제거(잘 조절하는 것을 뜻함)하여 이상적 인간이 될 수 있음

*인간과 만물은 모두 하늘이 주신 본성을 따라야 함

 

8) 경세론(經世論) : 세상을 다스리는 것에 관한 이론(정치와 사회 문제 해결)

 

①수기안인(修己安人) : 자신을 먼저 수양해야 다른 사람을 편안하게 해줄 수 있음(修己治人)

②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 수양을 통해 내면 닦기가 선행되고 가정을 제대로 다스린 후에야 나라를 다스릴 수 있음 → 수양된 인간만이 법과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사회적, 현실적 문제를 제대로 해결할 수 있음

③위기지학(爲己之學) : 공자(孔子)가 한 말로 모든 학문은 무엇보다 먼저 자신의 인격수양을 위하여 해야 함

 

[4] 육구연(陸九淵)의 심학(心學)

 

1) 육구연(陸九淵, 1139~93) : 남송시대 주자와 같은 시대 활동

2) 주자의 성즉리(性卽理)에 반대하여 심즉리(心卽理) 이론을 주창

①당시 지배적 사상이었던 성즉리(性卽理)를 비판

②마음의 중요성 강조 : 인간 속에 순선(純善)한 본성(本性)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 천리(天理)가 있음

*세상의 이치(理致)가 모두 내 마음(心)속에 갖춰있음

3) 명나라 왕양명(王陽明)에게 계승되어 명나라 양명학의 바탕이 됨

4. 명나라의 유학 : 양명학(陽明學)

 

1) 왕양명(王陽明, 1472~1528) : 명(明)나라가 개국(1368년)한지 약 100년 뒤에 출생한 유학자로 남송의 육구연(陸九淵)의 심학(心學)을 연구하여 양명학(陽明學)으로 집대성, 저서로 사상과 어록이 담긴 전습록(傳習錄)이 있음

 

2) 심즉리(心卽理) : 본래 타고난 인간의 마음이 곧 우주 자연의 이치

 

①인간의 마음 속에 천리(天理)가 있음 → 도덕원리인 양심(良心)이 있음

②심외무리 심외무물(心外無理,心外無物) : 마음 밖에 이치가 없고 마음 밖에 사물이 없음

③이(理)는 처음부터 인간의 마음속에 존재(인간이 아닌 다른 사물에는 이치가 없음 = 인간 외의 존재에는 본성이 없음)

④인간의 평등 주장 : 인간은 누구에게나 천리인 마음이 있으므로 모든 인간은 평등함

 

3) 치양지(致良知) : 모든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천리(天理)인 양지(良知)를 지극히 다함(致)

 

①마음속에 있는 양지(良知)를 자각하고 실천하면 지선(至善)의 경지에 이를 수 있음

*양지(良知) : 시비와 선악을 즉각적으로 가려내고 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선천적으로 주어진 것(선을 아는 마음)

②모든 사람이 양지(良知)를 선천적으로 가지므로 이론학습이 불필요함(도덕을 따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양심에 따라 행동하는 것)

③치양지(致良知)하면 세상의 이치를 알 수 있고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음

⒜인간의 마음에는 선천적으로 천리(天理)로서의 도덕성이 갖추어져 있음

⒝옳고 그름을 바르게 깨닫는 마음인 양지(良知)를 끝까지 밀고 나가 충분히 그 작용을 발휘해야 함

⒞사욕을 극복하고 인간의 순수한 본래성만을 유지하여 치양지(致良知)한다면 누구나 지선(至善)의 경지에 이를 수 있음

 

4) 지행합일(知行合一)

 

①주자의 성리학의 선지후행(先知後行) 비판

②양수인 : 지(知)는 행(行)의 시작이고 행(行)은 지(知)의 완성

⒜인식으로서의 지(知)와 실천으로서의 행(行)이 본래 하나

⒝지(知)는 마음속에 내재하고 있고 행위(行爲)는 그 표현에 지나지 않음

 

*성리학과 양명학의 격물치지(格物致知) 해석의 차이

 

5) 양명학의 인격 완성 방법

 

①양명학 역시 인격적으로 완성된 인간 추구

②사욕 부정 : 주자학과 동일하게 존천리거인욕(存天理去人欲) 강조

③사욕을 극복하고 순선(純善)한 마음을 유지하면 지선(至善)의 경지에 도달

④원리 : 양심 → 깨달음 → 실천(치양지) → 인격완성

 

6) 양명학이 이단(異端)이 된 이유

 

①청나라 시대와 조선시대(중종 때 전래됨)에 양명학은 이단으로 배척

②퇴계 이황은 왕수인의 전습록(傳習錄)을 조목조목 비판, 유성룡은 왕수인이 주자학을 비판한 것에 대해 다시 조목조목 비판, 이후 조선시대에는 양명학이 이단시되어 연구가 중단

③양명학은 욕구를 자연스러운 것으로 생각하고 잘 조절하면 된다는 입장이므로 욕구를 억제해야 한다는 유교의 기본개념과 배치

④양명학은 붕우관계와 인간관계를 중요시 하며 유교에서 인정하는 남존여비 사상과 장유유서의 상하관계를 버리고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다는 사상을 가지므로 유교 이념이 지배적인 시대에 당연히 배척될 수 밖에 없음

⑤but, 형이상학적 이론이 아니라 행함의 학문으로서 삶의 실제성에 중점을 둔 양명학은 후에 실학의 체계 확립에 영향을 끼침

 

5. 청나라의 유학 : 고증학(考證學)

 

1) 고증학(考證學) : 옛 문헌에서 확실한 증거를 찾아 경서를 설명하려는 학문

 

①명말청초(明末淸初)에 등장

②명나라 말기에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전해진 서양문물에 영향으로 현실에 바탕을 두어 사실을 밝히고자 하는 학풍이 발전

③성리학의 이기론(理氣論)와 양명학의 심성론(心性論)의 공허한 형이상학인 유교에 대한 반발

④명나라가 망한 후에는 한족의 부활을 꿈꾸는 반청(反淸) 감정과 시대의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2) 고증학의 내용

 

①한당(漢唐)의 훈고학(訓誥學)을 계승하여 실증적인연구 방법을 채택, 경학(經學)과 사학(史學)에서의 실증적인 연구 방법이 발전하여 청대의 고증학이 됨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입각하여 진리 탐구하는 과학적 학문태도

⒝경세치용(經世致用) : 세상을 다스리는 데 실제적인 도움이 되어야 함

⒞이용후생(利用厚生) : 백성들의 일상적인 생활에 이롭게 쓰이고 삶을 풍요롭게 하는 실천적인 학문

 

②연구방법 : 고서(古書)를 두루 참고하여 글자와 구절의 음과 뜻을 확실한 실증적, 귀납적 방법으로 밝힘으로 종래의 경서 연구 방법을 혁신

 

③고증학의 종류 : ⒜훈고학(訓詁學), ⒝음운학(音韻學), ⒞금석학(金石學), ⒟잡학(雜學), ⒠교감학(校勘學)

 

④연구결과 : 금석학(金石學)의 발달과 사고전서(四庫全書) 출판

*사고전서(四庫全書) : 중국 청나라 건륭제의 명으로 당시 이전의 모든 고전을 총망라해서 편찬한 대형총서(1772년에 시작해서 1781년에 완성) → 오늘날 청나라 이전의 중국 문헌들에 관한 정보를 알려 주는 소중한 자료

 

3) 고증학의 영향

 

①경세치용(經世致用)을 주장함으로써 정치와 민생(民生)에 도움을 주는 학문의 실용성을 높이는데 공헌

②학문 연구에 있어서 정확한 음운과 뜻(訓詁), 역사적 고증을 중요시하는 과학적 태도의 새로운 학문풍토를 정착시킴

③고증학은 조선시대 영, 정조 때 일어난 실학사상에 직접적인 영향

④한국 실학자와 작품 : 유형원(柳馨遠)의 반계수록(磻溪隨錄), 이익(李瀷)의 성호사설(星湖僿說), 정약용(丁若鏞)의 목민심서(牧民心書), 경세유표(經世遺表), 흠흠신서(欽欽新書), 안정복(安鼎福)의 동사강목(東史綱目), 유득공(柳得恭)의 발해고(渤海考), 홍대용(洪大容)의 담헌서(湛軒書), 이덕무(李德懋)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박지원(朴趾源)의 연암집(燕巖集) 등

표2.png

6. 중국 유교사상의 특징

 

1) 인본주의

 

①인간의 현재적 삶 중시 : 초월적인 세계보다는 현실적인 삶의 중요성 강조

*산 사람도 못 섬기면서 어찌 귀신을 섬길 수 있는가? (공자(孔子)

 

②인간의 주체성 중시 : 인간은 하늘을 맹목적으로 순종하는 존재가 아니라 천도(天道)를 내면화하고 자기에게서 실현화해야 함

-인간은 자신의 능력으로 만물의 변화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존재

*사람이 도를 넓히는 것이지, 도가 사람을 넓히는 것이 아니다(孔子)

*하늘에는 때가 있고....사람에게는 다스리는 능력이 있다. 인간이 자연의 변화에 참여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을 버리고 참여하는 대상만을 원하면 잘못된 일이다(苟子)

 

③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 : 하늘과 사람은 서로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본래 일체

④인간사회의 문제를 방관하거나 회피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해결하려고 노력

*조문도석사가의(朝聞道夕死可矣) :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孔子)

-인의(仁義)의 도덕이 올바르게 행하여지는 세상의 재현을 기대한 말

 

⑤공자(孔子)의 인본주의적 사상 : 유교의 현실 참여와 실천지향성 강조하며, 춘추시대 어지러운 사회혼란을 바로잡아 인간의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고자 노력

 

2) 도덕 지향

 

①도덕의 완성을 목표 : 수양(修養)을 통해 누구나 성인과 군자가 될 수 있음

-도덕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인간

*견리사의(見利思義) : 이익이 되는지를 보기 전에 그것이 옳은 것인지를 먼저 보라(이로움보다 올바름이 우선)

 

②자기 수양이 학문의 목적 : 지속적인 수신(修身)과 수양(修養) 강조

⒜위인지학(爲人之學)이 아닌 위기지학(爲己之學)

⒝남을 위한 공부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위한 공부(남에게 지식을 보이는 공부가 아니라 자신의 인격을 완성하기 위한 공부여야 함

⒞신독(愼獨) : 군자는 홀로 있을 때도 도리에 어그러짐이 없도록 몸가짐을 바르게 언행을 삼가야 함

*사군자(四君子)를 그림 : 사군자가 상징한 성품을 닮고자 함

*매란국죽(梅蘭菊竹) : 매화 - 지조, 절개; 난초 - 고결함; 국화 – 은일자적(隱逸自適); 대나무 - 높은 품격과 강인한 기상

 

3) 공동체와 사회 중시

 

➀유교사상의 공동체적 특징

⒜수기안인(修己安人) : 자신을 먼저 수양해야 다른 사람을 편안하게 해줄 수 있음(修己治人)

⒝수기치인(修己治人) : 남을 다스리기 전에 자기 수양부터 이루어야 함(修身齊家治國平天下)

⒞윤리적 규범 대상을 나 자신으로부터 출발해서 공동체로 확대

*충서(忠恕) : 남을 대할 때 자기 자신에게 하듯 정성껏 할 것

*기소불욕물시어인(己所不欲勿施於人) : 원하지 않은 일을 남에게 하게 하지 말 것

 

➁관계성 중시 : 오륜(五倫)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마땅히 따라야 할 도리를 알려주는 규범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사회와 공동체 속에서 인간이 지켜야할 규범을 통해서 인간관계의 역할 제시

 

③사익(私益)보다 공익(公益)을 중시 : 사회의 안정과 이익이 개인의 사사로운 이익보다 중요

*선공후사(先公後私) : 사사로운 일보다 공공의 일을 앞세움

*여민동락(與民同樂): 자신의 출세 뿐 아니라 백성과 더불어 즐거움을 같이하는 정치

 

4) 유교 사상이 현대 사회에 주는 시사점

 

①인간성 상실의 문제 해결

⒜현대는 도덕적 가치보다 개인의 이익을 우선

-자신과 타인을 포함한 인간이 존엄한 존재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다른 인간을 수단으로 여김

⒝인간이 천도(天道)를 부여받은 존엄한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음으로써 인간성 상실 문제 해소에 도움

 

②도덕 불감증 해소

⒜현대는 비도덕적인 행동을 하면서도 그것이 비도덕적인지 모르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음

-많은 지식과 기술 습득에 관심이 높은 반면, 도덕적 성찰과 관심은 없음 → 도덕적 불감증 초래

⒝인격 수양과 양심적 도덕의 실천으로 인격적인 지식인 양성에 기여

 

③지나친 개인주의 극복

⒜현대는 개인의 독립성과 자율성 강조하여 개인주의로 흐름

-개인주의가 변질되어 이기주의적 경향이 농후

⒝공동체 윤리 강조함으로서 이기심을 버리고 모두가 함께 잘 사는 이상적인 사회를 지향

IACE PROLOGUE
 

인재개발학과 언어교육학 그리고 응용언어공학 등의 융합연구를 바탕으로 학제간 응용적 교육과 컨설팅 현황, 융복합 연구 및 교육현황을 살펴봅니다. 인재개발은 어느 특정 학문의 연구 토대 위에 이룩될수 없으므로 융합적 연구를 기반으로 교육과 컨설팅 등 인재개발이 이루어집니다. 

국제융복합협회는 융복합 전문가들과 한국 융복합 인재 교육의 이론 연구 분야와 교육 시장에서의 여러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기대에 부응하겠습니다. 늘 변함없이 한국융복합 이론과 기술 그리고 인재교육 선진화에 기여하는  협회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저희 홈페이지를 찾아주신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동안 본 협회에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신 관계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 드리며 앞으로 계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ABOUT  IACE

 

국제융복합협회는 미국과 한국에 본부를 둔 비정부 기구(NGO)로서, 국제 특히 한국 및 아시아 지역의 융복합 인재교육 발전을 위한 연구와 교육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제융복합협회는 시민사회 싱크탱크로서 지난 2016년 설립된 이후, 한국 융복합인재 교육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하며 발전해 왔습니다. 

융복합 인재개발 분야에서 지속적인 양질의 이론과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과 융복합 인재 간의 정보교류 네트웤을 통한 한국사회 리딩 융복합 인재 육성을 최고의 목표로 하는 저희 협회는, 순수인재교육 분야를 필두로 융복합 인재 개발분야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한국사회에 적용하기 위하여 그 실천적 방안인 인터넷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및 모바일 환경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교육과 기존 오프라인 교육업체의 과학적인 인재교육 컨텐츠 개발에 일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 왔습니다.

Contact us

전력적제휴 / PR Comunication /​ 국제협력 / 강의요청/ ​컨설팅요청

Headquarter

U S A

272  S. Rexford Dr. 204 Beverly Hills CA. 90212  USA  

Tel : 310- 858- 8902  Fax : 310- 858- 8902

Republic of Korea

Daegu University Professo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Building 2113. 201, Daegudae-ro, Jillyang-eup, Gyeongsan-si, Gyeongsangbuk-do, Republic of Korea

Tel : 82-53-850-4677  Fax. 82-53-850-4678   email : iace@iacewd.org

Questions?  

Please send us an email : iace@iacewd.org

2113, reserch buld Department of business of 201, Daegudae-ro, Gyeongsan-si, Gyeongsangbuk-do, 38453 Republic of Korea 

TEL +82-053-850-4677 / F. 053-850-4678

 

Branding and Illustrations: Hartley & Soul Ltd

Website design: Gusto Digital Design

Photo credits: Primarily IACE members in addition to photographers

Druce Haase & Tervan Pribicko

© 2023 by HEAD OF THE CLASS. Proudly created with iacp.org  Updated 2016-08-10

(국제본부-USA)

272  S. Rexford Dr. 204 Beverly Hills CA. 90212  USA

Tel : 053-850-4677  Fax : 053-850-4678   email : iace@iacewd.org

 

(국제본부-South Korea)

경북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학교 경상대 교수 연구동 2113호  

Tel : 053-850-4677  Fax : 053-850-4678   email : iace@iacewd.org

(한국본부)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351-24 르네상스 빌딩 3F

Tel : 82-2-545-3450   Fax : 82-2-538-2680  email : iace@iacewd.org

(국제자료센터)

한국

대전시 유성구 전민로 10-2 4층

Tel : 82-42-641-3250 Fax : 82-42-641-3250

​영국

Robert Robinson Avenue The Oxford Science Park Oxford OX4 4GA 

Tel : +44 (0)1865 784 150   email : tony@iacewd.org

 

(교육센터) 

(강남교육장)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4동 역삼로 405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강북교육장)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351-24 르네상스 빌딩 3F

(대구교육장) 경북 경산시 하양읍 조산천서길 25 

​(영국교육장) Robert Robinson Avenue The Oxford Science Park Oxford OX4 4GA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351-24 르네상스 빌딩 3F   Tel : 82-2-545-3450   팩스:82-2-538-2680      비영리법인 고유번호: 613-82-81372              개인정보관리 : 황병중, 박창대 

© 2016 by Strategic Consulting. Proudly created with IAC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