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융복합센터 MOOC 강좌: 한문문장의 이해 (한문문장의 성분)

 

안녕하십니까! 국제융복합협회 융복합 MOOC센터에 방문해 주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국제융복합협회 융복합 MOOC센터는 홍익인간의 정신을 현대에 되살려 인간의 문제 해결과 복지증진에 이바지 할수 있도록  관련유관 강의를 누구나 학습할수 있도록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漢文 文章의 理解

 

 

 

Ⅰ. 漢文 文章의 成分

 

 

1. 문장의 성분(主語, 述語, 目的語, 補語)

 

- 文章이나 句文에는 각각의 역할을 담당하는 성분이 있음.

 

가. 主語+述語(S+V, 英文 1형식과 같음.)

- 문장의 主體가 되는 부분을 主語 성분, 從屬되는 부분을 述語 성분이라고 함.

 

(1) 무엇이 무엇이다 [주어+술어(명사)]

 

① 吾等 韓國人也 우리들은 한국인이다.

② 鄭夢周 忠臣也 정몽주는 충신이다.

③ 孔子 聖人也 공자는 성인이다.

 

(2) 무엇이 어찌하다 [주어+술어(동사)]

 

① 鳥 飛 새가 날다.

② 月 洛 달이 지다.

③ 花 開 꽃이 피다

 

(3) 무엇이 어떠하다 [주어+술어(형용사)]

 

① 水 淸 물이 맑다.

② 月 明 달이 밝다.

③ 草本 甚美 초목이 매우 아름답다.

 

나. 主語+述語 + 補語(S+V+C, 영문 2형식과 같음.)

- 보어를 넣어서 술어를 보충하여 뜻을 분명하게 하는 형태

 

(1) 무엇이 어찌하다 무엇에

 

① 吾等 合格 大學入試 우리들은 대학입시에 합격하였다.

② 日 沒 于西山 해가 서산으로 지다.

③ 良藥 苦 於口 좋은 약은 입에 쓰다.

 

(2) 무엇이 어찌되다 무엇에

 

① 雲 爲 雨 구름이 비가 되다.

② 高岸 爲 谷 높은 언덕이 계곡이 되다.

③ 乞人爲王 거지가 왕이 되었다.

 

(3) 무엇이 어떠하다 무엇보다

 

① 苛政 猛 於虎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사납다.

② 百聞 不如 一見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

③ 遠親 不如 近隣 멀리 사는 친척은 가까이 사는 이웃보다 못하다.

 

※ 보어의 품사

 

① 명사로 된 경우 我是 學生 나는 학생이다.

② 형용사로 된 경우 王 以爲 然 왕은 그렇게 여기다.

③ '개사(전치사)+명사'로 된 경우 日 出 於東海 해가 동해에서 떠오르다.

 

다. 주어+술어+목적어(S+V+O, 영문 3형식과 같음.)

- 한문에서도 他動詞의 경우에 목적어가 필요

 

(1) 무엇이 어찌하다 무엇을

 

① 我 讀 書 나는 책을 읽는다.

② 王 好 戰 왕이 전쟁을 좋아한다.

③ 少年 植 木 소년이 나무를 심는다.

 

※ 영어의 제 4형식과 한문의 비교

- 주어(S)+술어(V)+간접목적어(I.O)+직접목적어

 

영어: Teacher gave me an admontion.

한문: 先生 與 我 善言

 

라. 주어+술어+목적어+보어(S+V+O+C, 영문 5형식과 같음.)

 

(1) 무엇이 어찌하다 무엇을 어떠하게

 

① 父母 稱 吾 幼兒 부모는 나를 유아라고 부른다.

② 世人 謂 我 道人 세상 사람들이 나를 도인이라 일컫는다.

③ 我 云 此 知己 나는 이것을 知己라 한다.

 

(2) 무엇이 어찌하다 무엇을 무엇에게

 

① 孔子 問 禮 於老子 공자가 노자에게 禮를 물었다.

② 先生 與 一書 於我 선생이 나에게 한 권의 책을 주었다.

③ 先生 講 漢文 於學生 선생이 학생에게 한문을 강의한다.

※ 위의 문장들에서는 '개사(전치사)+명사'가 한 덩어리로 보어의 역할을 한다는 것 유의.

 

※ 영어의 제5형식과 한문의 비교

- 주어(S)+술어(V)+목적어(O)+보어(C)

 

영어: Parents call me a baby

한문: 父母 稱 吾 幼兒

 

 

 

2. 한문의 어순

 

가. 한문의 어순

 

(1) 主述관계

 

① 鳥 飛 새가 날다. (주 술)

② 山 高 산이 높다. (주 술)

③ 花 開 꽃이 피다. (주 술)

④ 孔子 聖人也 공자는 성인이다.(주 술)

 

♧ 述語+主語로 사용되는 경우

- 감탄이나 강조를 위한 倒置文

 

① 賢哉回也 어질구나 회여! (술 주) *여기서 회는 顔回를 말함.

② 甚矣 吾衰也 심하구나 나의 쇠약함이여! (술 주)

 

(2) 述語와 目的語

 

① 我 讀 書 나는 책을 읽는다. (주술목)

② 王 好 戰 왕이 전쟁을 좋아한다. (주술목)

③ 農夫 耕 田 농부가 밭을 갈다. (주 술 목)

④ 少年 植 木 소년이 나무를 심다. (주 술 목)

 

♧ 目的語+述語로 사용되는 경우

 

① 목적어가 의문사일 때

吾 誰 欺 내가 누구를 속이겠는가? (주목술)

 

② 목적어가 부정문 안에 있는 대명사일 때

不患 人之 不己知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는 것을 걱정하지 말라. [己=목적어, 知=술어] (주목술)

 

※ 동사+목적어의 문장이 부정될 경우

⓵ 목적어가 명사이면 '부정어+동사+목적어' (예, 不知人 타인을 알지 못한다)의 순으로 됨.

⓶ 목적어가 대명사이면 '부정어+목적어+동사' (예, 不己知 나를 알지 못한다)의 순으로 뒤바뀜.

 

(3) 述語와 補語

 

① 雲 爲 雨 구름이 비가 되다. (주술보)

② 高岸 爲谷 높은 언덕이 계곡이 되다. (주술보)

③ 我 是 學生 나는 학생이다. (주술보)

④ 日 出 於東海 해가 동쪽 바다에서 나오다. (주술보)

 

♧ 補語+述語로 사용되는 경우

 

風 自南 來 바람이 남쪽으로부터 불어온다. (주 보 술)

風 來 自南 바람이 불어온다 남쪽으로부터. (주술 보)

 

(4) 目的語와 補語

 

① 世人 謂 我 道人 세상 사람들이 나를 도인이라고 보른다. (주 술 목 보)

② 我 云 此 知己 나는 이것을 知己라 부른다. (주 술 목 보)

③ 孔子 問 禮 於老子 공자가 노자에게 예를 물었다. (주 술 목 보)

④ 先生 敎 漢文 於我 선생님이 한문을 나에게 가르치신다. (주 술 목 보)

 

나. 어순과 품사

- 어순에 따른 품사의 변화 : 어순이나 문자의 전후관계에 따라 품사나 뜻이 달라짐

 

① 先生 將 何 之 선생께서는 장차 어디로 가십니까? (之 '가다'의 뜻을 갖는 동사)

② 十人 守 之 열 사람이 그것을 지킨다. (之 '그것'의 뜻을 갖는 대명사)

③ 孝者 德之本也 효는 덕의 근본이다. (之 '~의' 의 뜻을 갖는 개사)

 

다. 어순과 문장성분

- 어순 변화에 따른 문장성분의 변화 : 어순이나 전후관계에 따라 문장성분도 바뀔 수 있음

 

① 心 定 마음이 정해지다. (주술)

② 定 心 마음을 정하다. (술목)

③ 言 寡 말이 적다. (주술)

④ 寡 言 말을 적게 하다. (술목)

 

※ 복합문의 어순 변화에 따른 의미 변화

 

① A見 出 B家 A는 본다. (누군가가) B의 집을 나서는 것을. [A=전체 주어, 집을 나서는 행위의 주체를 생략함]

② 見 A出 B家 (누군가가) 본다. A가 B의 집을 나서는 것을. [주어 생략, A는 집을 나서는 행위의 주체]

 

라. 우리말 어순 vs 한문 어순

 

① 나는 책을 읽는다. = 我 讀 書

(주 목 술) (주 술 목)

② 구름이 비가 된다. = 雲 爲 雨

(주 목 술) (주 술 목)

 

 

3. 성분의 생략(省略) 도치(倒置)

 

가. 성분의 생략

 

(1) 主語의 생략

 

(가) 대화-문답에서의 주어 생략

 

① 何以 咐耳 相語 어찌하여 귀에 대고 말하십니까?

② 將 何面目以 見國人乎 장차 무슨 면목으로써 국민들을 보겠습니까? (앞에서 이미 언급된 경우에 주어 생략)

③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공자가 말하기를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는 학문의 기틀이 확립되었고, 마흔 살에는 흔들리지 아니하였고, 쉰 살에는 하늘의 명령을 알았고, 예순 살에는 남의 말을 들으면 그 뜻을 이해하게 되었고, 일흔 살이 되어서는 마음에 하고자 하는 바를 그대로 따라도 법도에 벗어나지 않았다”(계속된 문장에서는 맨 처음에만 주어를 사용하고 나머지 문장에서는 생략한다)

 

(나)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서술에서의 주어 생략

 

④ 知彼知己 百戰不殆 상대편을 알고 자기 자신을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

 

(2) 述語의 생략

 

(가) 같은 일이나 동작이 중복되는 경우

 

① 擇基善者而從之, 基不善者而改之 그 좋은 것을 가려서 그것을 따르고, 그 좋지 못한 것을 (가려서) 그것을 고친다. [두 번째 문장 앞에 擇이 생략]

 

(나) 의문문 등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경우 생략

 

② 死馬且買之, 況 生者乎 죽은 말조차 그것(馬)을 사거늘, 하물며 산 것을 (사지 않겠느냐?). [生者乎앞에 不買가 생략]

 

(3) 補語 생략

 

① 子游 問 孝 자유가 (공자에게) 효도를 물었다. [‘공자에게’라는 의미의 於孔子를 생략]

② 國家 加惡法 於民, 民不服 나라가 백성에게 악법을 가하면, 백성은 (이에) 따르지 아니한다. [문장 마지막에 ‘이에’라는 뜻의 於此를 생략]

 

(4) 目的語 생략

 

③ 汝學文乎, 我不知也. 너는 글을 배웠느냐, 나는 (글을) 모른다. [不知 다음에 文이 생략]

④ 人不知, 而不慍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아니한다. [不知 다음에 己가 생략]

 

나. 성분의 도치

- 도치문은 일반적으로 뜻을 강조하거나 감탄을 표현할 때 사용

 

(1) 主語와 述語의 도치 [술어+주어] → [술어+주어]

 

① 甚矣, 吾衰也 심하도다, 나의 쇠약해짐이여! = 吾衰也甚矣

② 巧言令色 鮮矣仁 꾸며대는 말과 잘 꾸민 낯빛에게는 드물다, 인(仁)이라는 것이! = 巧言令色 仁鮮矣

③ 美哉 山河 아름답도다, 산과 물이여! = 山河 美哉

④ 善矣, 汝之行 착하구나, 그대의 행실은! = 汝之行 善矣

 

(2) 述語와 目的語의 도치[목적어+술어]

 

① 喜怒哀樂之夫發 謂之中 희노애락이 생겨나지 않은 때를 그것을 중(中)이라 한다.[목적어 之가 대명사인 경우]

② 何謂刑德 무엇을 형과 덕이라고 하는가? [목적어 何가 의문사인 경우]

 

(3) 述語와 補語의 도치[보어+술어]

 

③ 基心 與人 同也 그 마음은 다른 사람과 같다. [與人=보어, 同也=술어]

④ 危邦 不入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危邦=보어, 不入=술어]

 

(4) 그 밖의 특수형태

 

⑤ 此 汝 知乎 이것을 네가 아느냐? (此=목적어, 汝=주어, 知乎=술어) [主語와 目的語의 도치]

⑥ 於東海 日 出 동해에서 해가 떠오른다. (於東海=보어, 日=주어, 出=술어) [主語와 補語의 도치]

bottom of page